6편. MBTI, ESTJ와 한국인의 정 – 책임으로 묶인 관계의 온도
6편. MBTI, ESTJ와 한국인의 정 – 책임으로 묶인 관계의 온도정은 곧 의무라는 생각을 가진 ESTJ, 그들의 관계 속 정은 체계와 역할로 유지됩니다.정은 해야 할 일을 다하는 것ESTJ에게 정이란, 감정보다도 책임과 역할의 완수로 나타납니다. 부모로서, 자녀로서, 상사로서, 친구로서 맡은 바를 충실히 해내는 것이 곧 마음을 전하는 방식입니다. 따뜻한 말보다 정확한 행동, 불안한 감정보다 안정적인 틀을 중시하는 그들은 ‘정’을 실용적으로 실천합니다.“이만하면 정을 다한 거야”라는 마음ESTJ는 자신이 해야 할 도리를 다했을 때, 그것이 곧 충분한 정이라 생각합니다. 누군가를 도왔고, 문제를 해결했고, 약속을 지켰다면, 더 이상의 감정적 표현은 필요 없다고 느낍니다. 하지만 상대는 그 이상을 기대할..
2025. 9. 15.
4편. MBTI 유형별, 부모와 자녀의 경계선
4편. 『MBTI 유형별, 부모와 자녀의 경계선』부제: INFJ 부모 – 이해받고 싶은 마음이 경계선을 흔들 때1. 나도 상처받고 있다는 걸, 아이가 알아줬으면INFJ 부모는 아이를 깊이 사랑합니다. 그 사랑은 단지 보살핌에 머물지 않고,마음을 읽고, 감정을 느끼고, 말 없는 신호까지도 헤아리는 연결로 표현됩니다.하지만 그토록 따뜻한 애정 속에서도 INFJ 부모는 종종 혼자 상처받고, 혼자 참고 견딥니다.아이의 말이나 행동이 경계를 넘었을 때도, 단호하게 말하지 못한 채 속으로만 삼키곤 합니다.왜냐하면, 그 무엇보다도 “내 진심을 아이가 알아줬으면” 하는 간절한 마음이 먼저이기 때문입니다.2. INFJ 부모가 경계를 흐리게 만드는 이유지나친 공감력아이의 불편한 감정까지 함께 느끼다 보면, 스스로의 감정적..
2025. 9.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