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5편. MBTI로 바라본 성인 ADHD – 유형별 이해와 공감

by somibool 2025. 4. 28.
반응형

15편. MBTI로 바라본 성인 ADHD – 유형별 이해와 공감

ESFJ 성격과 성인 ADHD – 모두를 챙기려다 자신을 잃다

ESFJ 성격과 성인 ADHD에 관한 그림

💬 요약

ESFJ는 타인의 감정에 민감하고, 헌신적이며, 관계를 조화롭게 이끄는 따뜻한 성격입니다.
주변 사람들의 필요를 누구보다 먼저 인식하고, 배려와 봉사를 통해 인정받고자 하는 마음이 큽니다.
하지만 ADHD가 함께할 경우, 감정 기복과 산만함, 계획의 미흡함 등으로 인해
자신의 역할을 다하지 못한다는 깊은 자책과 죄책감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ESFJ 성인이 ADHD를 경험하며 느끼는 내면의 상처와,
자신을 돌보는 방향으로의 회복 여정을 함께 나눕니다.

1. 내면의 혼란, 겉으로는 다정한 사람

ESFJ는 겉으로 보기엔 늘 사람들을 배려하고, 웃으며 대화를 이끄는 사람입니다.
하지만 ADHD의 영향으로 감정이 요동치고, 일정이나 준비가 계획대로 되지 않으면
그 모든 책임을 ‘자신의 부족함’으로 받아들이며 조용히 혼란에 빠지게 됩니다.

“나는 왜 중요한 순간에 늘 실수를 하지?”
“나 때문에 사람들이 불편해졌을까?”

이러한 생각이 반복되며, 겉으로는 웃고 있어도 속은 무너지는 기분을 자주 경험합니다.

2. 집중력의 독특한 흐름

ESFJ는 실제적인 일을 처리하고, 타인을 도와주는 활동에 높은 몰입을 보입니다.
그러나 ADHD가 함께하면, 중요한 일정이나 대화의 흐름을 놓치는 일이 잦아지고
그로 인한 실수가 자기 신뢰를 크게 흔들게 됩니다.

하루 중 일의 우선순위를 파악하기가 어려워지고,
감정적인 피로가 몰려오는 날에는 아무 일도 손에 잡히지 않는 날도 생깁니다.

이럴 때 ESFJ는 “나는 왜 이렇게 무능할까”라고 자신을 질책하며
더 열심히 해야 한다는 부담으로 스스로를 몰아세우게 됩니다.

3. 감정 조절과 자기비판의 고리

ESFJ는 감정에 민감하고, 타인의 반응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하지만 ADHD는 감정의 크기를 증폭시키며,
작은 오해나 거절에도 지나치게 상처를 받고, 깊은 자기비판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다들 나를 불편해하는 건 아닐까?”
“나만 너무 감정적이고 힘든 사람이 된 건 아닐까?”

감정을 조절하지 못하는 스스로를 부끄러워하면서,
정작 진짜 감정을 나눌 상대는 점점 멀어지게 됩니다.

4. 대인 관계에서의 갈등과 오해

ESFJ는 관계를 소중히 여기고, 조화로운 분위기를 유지하려 노력합니다.
하지만 ADHD의 특성으로 인해 약속을 깜빡하거나, 감정 조절이 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면
자신이 감정적으로 불안정한 사람처럼 보이는 것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게 됩니다.

그리고 이런 일이 반복되면
“이제 사람들을 피해야 하나…”
“나는 왜 항상 관계에서 실수를 하지…”
라는 생각으로 점점 사람들과 거리를 두게 됩니다.

그 마음 깊은 곳에는 여전히 연결되고 싶은 바람이 있지만,
자기 신뢰가 낮아져 그것을 표현할 수 없게 되는 순간이 많아집니다.

5. 회복의 방향과 실천 전략

ESFJ의 회복은 ‘더 열심히’보다 ‘자신을 위한 배려’를 실천하는 데서 시작됩니다.
타인을 돌보는 데 익숙한 ESFJ에게 가장 낯선 일은 ‘자기 돌봄’일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는 실천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일정 관리 시 ‘타인을 위한 약속’과 ‘자신을 위한 시간’을 나누어 설정하기
  • 감정이 올라올 때 곧바로 반응하지 않고, 5분간의 거리두기 시간을 갖기
  • 하루 한 가지, ‘나만을 위한 활동’을 체크리스트에 포함시키기
  • 감정 일기를 작성하며 ‘타인의 감정’이 아닌 ‘자신의 감정’을 우선으로 기록해보기

회복은 스스로를 돌보는 연습입니다.
사람을 잘 돌보는 ESFJ는, 사실 자기 자신에게도 가장 따뜻한 돌봄을 줄 수 있는 사람입니다.

6. 정체성과 자존감 회복을 위한 메시지

마음에 반응하며 따뜻하게 감싸주는 사람에 관한 사진

ESFJ는 언제나 누군가의 마음을 먼저 알아채고,
그 마음에 반응하며 따뜻하게 감싸주는 사람입니다.
하지만 ADHD는 그 민감함을 혼란으로, 그 섬세함을 약점으로 오해하게 만듭니다.

당신이 감정을 깊이 느끼고, 다른 사람을 생각하며 살아가는 그 모습은
조금도 틀리지 않았습니다.

당신은 ADHD를 가졌기에 특별한 게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괜찮은 사람입니다.
이 시리즈는, 그 사실을 되새기는 길이 되기를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