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4편. MBTI로 바라본 성인 ADHD – 유형별 이해와 공감

by somibool 2025. 4. 28.
반응형

14편. MBTI로 바라본 성인 ADHD – 유형별 이해와 공감

ESTJ 성격과 성인 ADHD -  책임감의 무게에 눌린 내면

ESTJ 성격과 성인 ADHD에 관한 그림

💬 요약

ESTJ는 책임감 있고 성실하며, 명확한 규칙과 질서를 중시하는 관리자형 성격입니다.
현실적인 문제 해결 능력과 강한 실행력을 바탕으로 조직과 가정의 중심 역할을 자주 맡습니다.
그러나 ADHD가 함께할 경우, 통제가 어려운 집중력 저하와 감정 기복은
ESTJ의 ‘스스로를 통제하고 책임져야 한다’는 가치와 깊은 충돌을 일으킵니다.
이번 글에서는 ESTJ 성인이 ADHD를 겪을 때 생기는 내면의 불안과 좌절,
그리고 그 회복을 위한 따뜻한 전략을 함께 살펴봅니다.

1. 내면의 혼란, 겉으로는 견고한 사람

ESTJ는 흔히 ‘믿을 수 있는 사람’, ‘철두철미한 리더’라는 인상을 줍니다.
스스로에게도 높은 기준을 세우며, 모든 일에 계획과 구조를 갖추려 합니다.

하지만 ADHD가 함께할 경우,
그 치밀한 계획이 자꾸 무너지고, 작은 실수조차 감당하기 힘든 부담으로 다가옵니다.

“왜 이렇게 사소한 것도 놓치는 거지?”
“이건 내가 절대 하면 안 되는 실수인데…”

겉으로는 단단한 사람처럼 보이지만,
속으로는 자기 통제가 무너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가득합니다.

2. 집중력의 독특한 흐름

ESTJ는 원래 ‘일을 완수하는 것’에 큰 만족을 느끼는 유형입니다.
하지만 ADHD는 계획대로 흘러가지 않는 집중력의 흐름을 만들어냅니다.

문서 하나를 정리하는 데에도 자꾸 딴 생각이 들고,
회의를 준비하다가 메일 확인으로, 다시 자료 탐색으로,
정작 해야 할 일은 늦어지고 있다는 사실에 자책이 시작됩니다.

“나답지 않아…”
이 말 속에는 스스로 세운 기대에 도달하지 못하는 좌절이 담겨 있습니다.

3. 감정 조절과 자기비판의 고리

ESTJ는 감정보다 이성을 중시하지만,
ADHD가 동반된 경우 감정의 기복이 강해지고, 그 감정을 표현하는 데도 어려움을 겪습니다.

특히 분노, 조급함, 자책 같은 감정이 억눌린 채 내부에서 커지며
갑작스럽게 폭발하거나, 반대로 스스로를 더 강하게 억압하게 됩니다.

“왜 이렇게 내가 나약하지?”
“감정 따위에 흔들리면 안 돼.”

이런 태도는 결국 자기비판을 강화하고,
‘문제를 해결해야만 괜찮은 사람’이라는 조건 속에 자신을 가두게 만듭니다.

4. 대인 관계에서의 갈등과 오해

ESTJ는 신뢰와 명확한 약속을 중시합니다.
하지만 ADHD의 영향으로 약속을 잊거나, 준비가 미흡해지는 일이 반복되면
자신이 가장 싫어하던 ‘무책임한 사람’이 된 듯한 괴로움을 느낍니다.

이로 인해 주변 사람에게 더 엄격해지고,
상대의 실수나 변덕에 과민하게 반응하게 됩니다.

결국 “왜 나만 이렇게 애쓰고 있는 거야”라는 외로움이 자리잡고,
동시에 “나는 왜 이 정도도 못 견디나”라는 자기비난도 커지게 됩니다.

5. 회복의 방향과 실천 전략

ESTJ에게 회복은 ‘계획을 완벽하게 다시 세우는 것’이 아닙니다.
중요한 건 예상치 못한 흐름까지 포용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를 만드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는 실천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하루 일정을 ‘절대 해야 할 일’과 ‘될 수 있으면 좋은 일’로 나누기
  • 정해진 시간보다 ‘정해진 순서’에 집중해 일의 부담 줄이기
  • 실수했을 때 감정을 억누르기보다 “그럴 수도 있어”라고 말해주는 연습
  • 주간 단위로 진행률을 체크하며, 하루 단위 실패에 휘둘리지 않기

ESTJ는 시스템 안에서 자신을 정비하는 데 강점이 있지만,
때론 그 시스템이 스스로를 옭아매기도 합니다.
회복은 그 틀을 부드럽게 조정하는 데서 시작됩니다.

6. 정체성과 자존감 회복을 위한 메시지

ESTJ는 공동체의 무게를 기꺼이 짊어지는 사람에 관한 사진

ESTJ는 공동체의 무게를 기꺼이 짊어지는 사람입니다.
그러나 ADHD는 그 무게를 견디지 못할 때,
자신이 무가치하다고 느끼게 만들기도 합니다.

당신은 기준에 도달하지 않아도 괜찮은 사람입니다.
때로 실수하고, 때로는 계획을 어겨도,
당신의 책임감과 진심은 사라지지 않습니다.

당신은 ADHD를 가졌기에 특별한 게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괜찮은 사람입니다.
이 시리즈는, 그 사실을 되새기는 길이 되기를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