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2편. MBTI로 바라본 성인 ADHD – 유형별 이해와 공감

by somibool 2025. 4. 26.
반응형

12편. MBTI로 바라본 성인 ADHD – 유형별 이해와 공감

ENFP 성격과 성인 ADHD –  에너지와 흥미 사이의 롤러코스터

ENFP 성격과 성인 ADHD에 관한 사진

💬 요약

ENFP는 열정적이고 창의적인 에너지를 가진 이상주의자입니다.
새로운 아이디어와 사람을 사랑하며, 자유로운 사고와 감성으로 세상을 연결하려 합니다.
하지만 ADHD가 함께할 경우, 그 에너지는 방향 없이 흩어지고,
몰입과 탈진을 반복하는 내면의 롤러코스터를 만들어냅니다.
이번 글에서는 ENFP 성인이 ADHD를 경험하며 겪는 어려움과
회복을 위한 실천 전략을 공감 어린 시선으로 풀어봅니다.

1. 내면의 혼란, 겉으로는 열정적인 사람

ENFP는 늘 밝고 에너지 넘치는 모습으로 주위를 생기 있게 만듭니다.
하지만 ADHD가 결합되면, 그 에너지는 감정과 생각에 따라 널뛰듯 흔들리며
하루에도 몇 번씩 의욕과 무기력 사이를 오가게 됩니다.

“너무 하고 싶은데, 막상 시작이 안 돼.”
“내가 이걸 정말 좋아하긴 하는 걸까?”

겉으로는 밝고 다정하지만,
속으로는 “나는 왜 이리 들쑥날쑥할까”라는 혼란과 자기비판이 쌓여갑니다.

2. 집중력의 독특한 흐름

ENFP는 열정이 있는 주제에 대해선 믿기지 않는 몰입력을 발휘합니다.
하지만 그 몰입은 일관되지 않고,
ADHD로 인해 급작스럽게 흥미를 잃거나, 새로운 자극에 쉽게 주의가 빼앗기게 됩니다.

처음에는 누구보다 의욕적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유지가 되지 않고,
결국 시작만 해놓고 마무리하지 못한 일들이 산처럼 쌓입니다.

이 반복은 ENFP에게 “난 참 변덕스러운 사람인가 봐”라는 무력감을 안겨줍니다.

3. 감정 조절과 자기비판의 고리

ENFP는 감정의 흐름에 매우 민감하며,
타인의 말과 시선에 쉽게 영향을 받는 특성을 가집니다.
ADHD가 겹쳐질 경우, 감정이 빠르게 솟구치고 꺼지며
자신조차 그 감정을 따라가지 못하게 됩니다.

“내가 너무 과했던 건가?”
“왜 갑자기 이렇게 기분이 떨어지지…”

이러한 감정의 요동은 자기비판으로 이어지고,
자신을 진심으로 이해해줄 사람이 없다는 외로움을 동반합니다.

4. 대인 관계에서의 갈등과 오해

ENFP는 사람을 좋아하고, 인간관계를 통해 에너지를 얻습니다.
하지만 ADHD로 인해 약속을 깜빡하거나, 말이 앞서거나,
집중을 잃는 상황이 반복되면 관계에 균열이 생깁니다.

상대는 ENFP를 “변덕스럽다”, “신뢰하기 어렵다”라고 느끼고,
ENFP는 “난 진심이었는데…”라는 상처를 안게 됩니다.

이런 반복 속에서 ENFP는
점점 자신을 숨기고, 진짜 감정을 드러내는 것에 두려움을 느끼게 됩니다.

5. 회복의 방향과 실천 전략

ENFP의 회복은 자유를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유 안에 리듬을 부여하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도움이 되는 실천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계획보다는 ‘의욕이 있을 때 바로 실행’할 수 있는 공간과 환경을 마련하기
  • 일정 관리에 감정 색깔이나 아이콘을 넣어 감정과 연결된 체크리스트 만들기
  • 계획이 흐트러졌을 때 “왜 못했는가”보다 “지금 다시 시작할 수 있을까”로 접근하기
  • 감정이 격해질 때 글이나 음성녹음 등 비언어적 표현으로 정리해보기

ENFP는 구조가 필요 없는 사람이 아니라,
‘자기만의 감성적 구조’가 필요한 사람입니다.

6. 정체성과 자존감 회복을 위한 메시지

세상의 다양한 가능성을 누구보다 잘 느끼는 사람에 관한 사진

ENFP는 따뜻한 연결의 사람이며,
세상의 다양한 가능성을 누구보다 잘 느끼는 사람입니다.
하지만 ADHD는 그 가능성을 산만함으로, 그 감성을 과민함으로 축소시키기도 합니다.

당신은 갈팡질팡하면서도
언제나 누군가에게 따뜻한 존재였다는 것을 기억해 주세요.

당신은 ADHD를 가졌기에 특별한 게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괜찮은 사람입니다.
이 시리즈는, 그 사실을 되새기는 길이 되기를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