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BTI와 기질별 성장 시리즈/• MBTI, 유형별 자라지 못한 내면아이

17편. 『MBTI, ESTP 기질의 자라지 못한 내면아이』

by somibool 2025. 11. 1.
728x90
반응형

17편. 『MBTI, ESTP 기질의 자라지 못한 내면아이』

부제: 지금 이 순간에만 집중한 아이

1. 생각보다 반응이 먼저였던 어린 시절

ESTP는 에너제틱하고 즉흥적이며, 현실 감각이 뛰어난 성격 유형입니다. 새로운 자극과 활동을 즐기며, 현재의 즐거움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모습을 자주 보입니다에 관한 그림

ESTP는 에너제틱하고 즉흥적이며, 현실 감각이 뛰어난 성격 유형입니다. 새로운 자극과 활동을 즐기며, 현재의 즐거움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모습을 자주 보입니다. 그러나 그 즉흥성과 활동성 이면에는 종종 과거를 마주하지 않기 위해 현재에만 머무르는 아이가 숨겨져 있습니다.

ESTP 아이는 감정을 깊이 들여다보는 법을 배우지 못했을 수 있습니다. 슬픔이나 두려움을 말로 풀어내기보다는, 즉각적인 반응이나 활동으로 감정을 회피하려는 경향을 가졌습니다. 때로는 감정을 표현하는 대신 웃거나, 장난치거나,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렸을 수 있습니다.

2. 즉흥성과 쾌락으로 감정을 덮는 방어기제

성인이 된 ESTP는 활발하고 현실적인 태도로 상황을 빠르게 파악하고 행동합니다. 그러나 감정적으로 어려운 주제가 등장하면 회피하거나 가볍게 넘기는 경향이 있으며, 감정의 깊은 흐름 속에 오래 머무르기를 어려워합니다.

이런 성향은 감정을 다뤄본 경험이 부족했던 내면아이의 방어기제입니다. "지금이 중요하지, 과거는 지나갔어", "생각하면 복잡해지니까 그냥 행동하자"는 태도는 ESTP를 감정적 성숙보다는 즉각적 반응의 반복으로 이끕니다. 그 아이는 여전히 과거의 상처를 보지 않기 위해 현재를 과잉 소비합니다.

3. 자라지 못한 나의 패턴

‘자라지 못한 ESTP’는 갈등이나 감정적 깊이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회피하거나, 문제를 단순화하려 합니다. 순간순간의 재미나 활동에 몰두함으로써 내면의 공허함이나 불편한 감정을 잠시나마 잊으려 합니다.

그러나 감정을 회피하는 패턴은 결국 표현되지 못한 상처로 남아 있으며, 관계 안에서 깊은 신뢰를 쌓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것은 단순한 즉흥성이 아니라, 감정을 다룰 수 없었던 아이의 고착입니다.

4. 건강하게 자라기 위한 방향

ESTP가 감정적으로 성숙해지기 위해서는, 지금 이 순간의 감정을 피하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이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감정은 불편할 수 있지만, 그것이 나를 위험하게 만드는 것이 아님을 인식해야 합니다에 관한 그림

ESTP가 감정적으로 성숙해지기 위해서는, 지금 이 순간의 감정을 피하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이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감정은 불편할 수 있지만, 그것이 나를 위험하게 만드는 것이 아님을 인식해야 합니다.

지금 여기뿐만 아니라, 과거의 나도, 미래의 나도 돌볼 수 있는 여유가 감정적 성장의 시작입니다. 그 아이에게 말해주세요. “지금도 좋지만, 너의 속마음도 들여다볼 수 있어. 감정을 피해 달리지 않아도 돼.”

5. 다음 편 예고

다음 편은 『18편. 자라지 못한 나를 껴안는 법』 마무리 글입니다. 이제 유형을 넘어, 모든 사람에게 공통된 ‘자라지 못한 내면아이’의 존재를 인정하고, 치유의 방향과 성숙의 길을 함께 모색합니다.

 

728x90
반응형